미국장 아침 늬우스(TUE, 22/02/01)

전날 미국장 상황

미국 증시
DOW: 35,131.86 (+406.39, +1.17%)
S&P500: 4,515.55 (+83.70, +1.89%)
NASDAQ: 14,239.90 (+469.30, +3.41%)
러셀2000: 2,025.64 (+57.13, +2.90%)

달러 인덱스
96.632 (-0.634, -0.65%)

미국 국채시장
2년물: 1.18% (+3.0bp)
5년물: 1.62% (+1.0bp)
10년물: 1.79% (+1.0bp)
30년물: 2.11% (+4.0bp)

국제유가
WTI: 88.29 (+0.18, +0.20%)
브렌트유: 89.31 (+0.09, +0.10%)
천연가스: 4.922 (+0.018, +0.37%)

귀금속
금: 1,797.20 (-1.30, -0.07%)
은: 22.477 (+0.007, +0.03%)

곡물
옥수수: 624.75 (-0.15, -0.02%)
대두: 1,490.75 (-0.13, -0.01%)

해운
BDI: 1,381 (+73, +6.07%)

미국 서부시간 01일 오전 6시 현재

DOW 선물(/YM): 35,004.00
S&P500 선물(/ES): 4,509.50
NASDAQ 선물(/NQ): 14,948.75


● 기업단신
AMC (AMC)
예상을 상회하는 실적과 매출을 발표하며 장전 +4.7% 상승

유나이티드 파슬 서비스  (UPS)
주당 $3.59의 실적으로 예상치 $3.10을 상회
예상을 상회한 전망발표와 함께 배당 +49% 상향조정을 발표
장전 +7.4% 상승
경쟁사 페덱스 (FDX)는 장전 +2.5% 상승

엑손 모빌 (XOM)
주당 $2.05의 실적으로 예상치 $1.93을 상회
매출은 예상치 하회
100억 달러의 신규 자사주 매입 방침 발표하며 장전 +1.3% 상승

시리어스 XM (SIRI)
주당 $0.08의 실적으로 예상치를 +$0.01 상회
매출도 예상치 상회
주당 $0.25의 특별 배당지급 뉴스와 함께 장전 +1% 상승

UBS (UBS)
2006년 이후 최고의 실적을 발표
자사주 매입과 배당증액 계획 발표하며 장전 +6.2% 상승

시러스 로직 (CRUS)
주당 $2.54의 실적으로 예상치를 +$0.40 상회
매출도 예상치 상회하였으나 장전 -4.1% 하락

뉴욕타임즈 (NYT)
단어게임인 워들 (Wordle)을 몇 백만 달러 규모로 인수협상 중이라고 알려짐
인수 후에는 해당게임은 웹사이트와 앱에서 사용가능할 듯
장전 -1.3% 하락

산미나 (SANM)
예상을 상회하는 실적과 매출로 장전 +4.7% 상승
산업부문, 의료부문, 방산 및 자동차 부문에 걸쳐 고른 성장을 보이며 당기 전망도 예상을 상회

기사원문


● 소니, 번지 스튜디오 인수협상 중
소니가 ‘헤일로 (HALO)’의 제작사인 번지 스튜디오 (Bungie studio) 인수에 36억 달러를 제시
이는 최근 경쟁사인 마이크로 소프트의 액티비전 블리자드 인수에 따른 것으로 분석

기사원문


● 화이자, 5세 이하 아동에게 백신접종 승인 받을 듯
화이자와 바이오N테크는 빠르면 화요일 5세 이하 아동에게 COVID 백신 접종이 가능하도록 승인 받을 것이라고 뉴욕타임즈가 보도
현재 5세 이하 아동군에게 3회 접종의 효과를 연구 중이라고 언급

모더나는 자사의 백신이 월요일 미 보건 당국으로부터 완전 승인을 받았다고 발표
화이자의 백신은 지난 8월에 완전승인되었음

기사원문


● AT&T, 워너미디어 분사에정
AT&T는 화요일 자사의 워너미디어 부문을 분사할 예정이라고 발표
AT&T 주주들은 새로운 워너미디어/디스커버리 커뮤니케이션 (DISCA) 의 지분 71%를 보유하게 되며 1주당 0.24 주의 신규회사의 주식을 배정받게 될 예정
대신 AT&T는 배당을 반으로 삭감할 예정

기사원문


● 인도 정부, 2022년 예산 발표
인도 정부가 발표한 2022년 예산안은 +4.6% 증가한 5,300억 달러 가량
청정에너지와 인프라 건설에 중점을 둘 예정
재무장관 니르말라 싯타라만 (Nirmala Sitharaman)은 암호화폐 거래세로 30%를 부과할 것이라 발표

기사원문


● 러시아 제재시 공급망 이슈 심화 가능성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에 따른 제재가 시작되면 공급망 이슈가 심화되고, 인플레이션이 심화될 가능성이 대두
현재 러시아는 화석연료, 각종 금속원료, 밀 등의 글로벌 공급망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상품을 수출하는 국가임
특히 자동차 엔진 제작에 필수적인 팔라듐 (palladium)은 전세계 생산량의 43%를 차지
미국과 영국이 주도하는 러시아 제재가 실제화되면 글로벌 경제에 미치는 부정적인 영향의 여파가 오래갈 듯
* 필자의 생각: 러시아랑 이렇게 각을 세울 때가 아니라고 했잖아…이제와서 발 빼기도 우습고…ㅠㅠ

기사원문


Leave a Reply

Your email address will not be published. Required fields are marke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