뇌피셜 데일리 (25/01/27)-It’s DeepSick!

지난 주말 딥시크 (DeepSeek) AI로 시끌시끌하더만, 오늘 미국장에 아주 확실한 똥을 투척해 줌. ㅅㅂ

사실 ChatGPT나 다른 AI의 개별 사용요금은 얼마 안되더라도, 이게 토큰 수가 한정되어 있어서 이것도 쓰고, 저것도 쓰다보면 비용이 ㅎㄷㄷ…
로빈후드가 트레이딩 플랫폼 ‘무료 커미션’이라는 공을 쏘아올렸듯이, 딥시크가 AI 저비용 경쟁이라는 공을 쏘아올렸다는 점에 있어서는 아주 바람직하다고 생각되시겠다.

그간의 AI는 ‘지도학습-휴먼피드백 (Human Feedback)-강화학습’의 순서로 강화된 반면, 딥시크는 인간의 개입없이 ‘강화학습 (Reinforcement Learning)’ 만으로 뭔가를 해냈다는 거야.
즉, 딥시크의 인공지능 모델이 시도한 답변에 대해서, 이 답변이 제대로 됐는지 아니면 안 됐는지를 평가한 후에 제대로 된 답변을 도출한 경우에만 보상값으로 뭔가를 주면서 키우는 방식이야.

물론 이런 방식으로 인공지능 모델이 환경과 상호작용하면서 자기 알아서커지게 했다는 게 대단한거야.미국판 AI는 책도 읽게 하고, 신문도 읽게 하면서 정답을 가르쳐 주면서 어떤 질문에 있어서 어떻게 대답하는 게 정답일 확률이 높다고 교육을 시키는 반면에, 딥시크는 아예 첨부터 정답이 없이 지 혼자 이르케~저르케 생각해 보면서 스스로 공부했다는 거야.
쉽게 말해, 강아지 훈련시키는 거와 비슷…옳지!

그 가운데 ‘아하 모멘트 (aha moment)’를 발견했다는 것도 대단한 거야.

어쨌거나 내가 중국에 대한 선입견이 심해 어떻게 해서든 까고 싶지만, 일단 자연과학을 전공한 Scientist이자 Engineer 입장에서 정말 대단한 건 대단하다고 할 수 밖에 없음.


그.뤈.뒈!

과연 지금의 우려가 현실화 될까?

이제 엔비디아 GP아무도 안 살 거야…

ChatGPT 망할거다…

마이크로소프트 잣된거다…

중국이 AI를 지배할꺼다…

몇 가지 질문이…

자료를 공개한 바 있다.

1. 훈련 비용이 600만 달러 이하로 메타 등 미국 거대 IT기업의 최신 AI모델 훈련에 사용된 비용의 10분의 1 수준이었다는게 미국내 개발자들이 현타가 올 정도의 결과라면, 과연 딥시크 개발자들이 중국 정부의 지원이나 보조금 없이 가능했을까?

2. 지난달 말 출시한 딥시크-V3가 미국정부의 대중국 수출규제에 걸리지 않도록 엔비디아의 저사양 칩을 활용해서 이런 결과를 만들어 낸건 정말 고무적임.
그런데…정말 앞으로도 고성능 칩 없이 효율로만 퍼포먼스를 지속할 수 있을꺼 같음?
작년인가 화웨이가 보란듯 내놓았던 플래그십 폰에 사용되었던 칩이 어디서 나왔는지 기억 못함?

3. 저들 말대로 효율성으로만 혁신을 이뤘다면, 과연 저사양 칩으로 언제까지 이런 수준을 유지할 수 있을까? 공공연한 비밀로, 중국에서 NVDA의 고성능칩을 우회수입으로 엄청나게 많이 받아간걸로 알고 있는데, 정말 그런거 안쓰고 했을까?

4. 중국애들 말대로, 이 구리구리한 기종의 저사양칩으로 이 정도의 퍼포먼스가 나온다면, 빠릿빠릿한 앗쎄이 칩을 가지고는 어떨까는 생각 안해봄?

4. 아무리 현지화, 경량화라고 해도 단지 사용자의 환경에 맞추는 s/w configurations이지, 보안 이슈가 없는다고 자신해?
결국 중국의 기업이라면 중국정부의 정책이나 요구를 우회하거나 거부할 수 없을텐데?
천안문이나 시진핑 관련 이슈만 봐도 그렇듯이, 이게 ‘중국산’의 가장 큰 위협이자 한계가 아닐까?
왜 싸게 공급할 수 있겠냐는 생각 안해봐?

You get what you pay for.


물론 이 모든 질문에 ‘그렇다’라고 할 수도 있겠지.
내가 지적하고자 하는 건 그게 아니야.

지금 구글에 딥시크라고 한 번 쳐봐.

무슨 곧바로 NVDA 망할 거라는 둥, 중국이 미국을 추월했다는 둥, 온갖 뻘소리 천지임.
이딴 소리 해대는 인간들은 도대체 얼마나 이쪽 분야를 잘 알고 있어서 이딴 소리 해댈까?

결과적으로 내 말은 딥시크가 중국산이니 쓰지 말라는 게 아님.
실제로 딥시크가 공개한 정보를 보면, 대체불가능한 원천기술이라기 보다는, 기존의 접근법과 다른 접근을 통해 이르케 저르케도 할 수 있겠다라는 소프트웨어의 가능성을 보여줬다는 것 이상도 이하도 아니라 생각함.

특히 오픈소스의 효율성을 보여준 효시라 생각함.
뭐, 비슷한 오픈소스 AI인 메타는 좀 혁신이 필요하겠지.

님이 돈 많은 개발자라면, 끝까지 구리구리 저사양칩으로 개발을 하겠음? 아니면 빠릿빠릿 고사양칩으로 신세계를 구현해 보겠음?
장기적으로 딥시크로 인해 중국AI 산업과 미국, 그리고 글로벌 AI 산업계가 더 활성화될 거라 생각함.

자, 이제 투자자의 입장에서 생각해보자.
어차피 난 중국은 별 관심 없으니, 미국, 그리고 글로벌 AI 산업계가 더 활성화된다면 당신은 어디다 투자할껀데?

난 오늘 NVDA 포지션을 늘렸음.


ALWAYS DYOR-NFA

도움이 되셨기를 바라며 늘 과격한 수익 내시기 바란다.
이 포스팅은 특정 종목의 매수/매도 추천의 글이 아님을 밝힌다.

Leave a Reply

Your email address will not be published. Required fields are marked *